BCG X 자비스앤빌런즈(삼쩜삼)
‘금융의 미래: 긱이코노미 시대, 당신의 플랫폼은 준비됐습니까?’
보고서 공동 발간
- 긱워커 채용건수 매년 35% 증가, 2026년 5.5억건 규모 시장 추산
- 국내 긱워커 88% “이 직종에 계속 종사하고 싶다” 60% “정규직 채용돼도 긱잡 지속”
- 반짝 트렌드 아닌 근로시장 구조적 변화
- 변화에 대응할 종합 긱플랫폼 필요성 대두
- 12개국 1만1,000명 이상 긱워커 대상 BCG 설문조사 및 긱워커 빅데이터 분석
(2022년 6월 21일) 글로벌 경영전략 컨설팅社 보스턴컨설팅그룹(BCG) 코리아와 개인 세무 시장을 혁신하는 택스테크 스타트업 자비스앤빌런즈(Jobis and Villains)는 공동으로 ‘금융의 미래: 긱이코노미 시대, 당신의 플랫폼은 준비됐습니까?’ 보고서를 발표하고, 현재 연간 채용건수 1.2억건인 국내 긱(Gig)이코노미 규모가 향후 5년간 매년 연평균 약 35% 성장, 2026년 연간채용건수 5.5억건에 이를 것으로 봤다. 또 지금은 배달 배송 위주인 긱이코노미가 곧 도소매 식음료업 등으로 크게 확산돼 고용 시장의 주요한 한 축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.
그러나 규모는 급성장한데 반해 긱워커의 근무 만족도는 낮았으며, 관련 제도와 정책이 불충분해 고용자 및 긱잡 종사자가 불편한 점이 많고, 종사자들이 사회안전망 및 금융서비스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, 건강한 긱이코노미 정착을 위해선 과제가 산적한 것으로 지적됐다. BCG와 자비스앤빌런즈는 보고서를 통해 잡 매칭과 긱워커의 금융∙소득 종합관리를 아우르는 종합 긱플랫폼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또한 전통 금융권의 적극적 협력, 정부의 규제 재정비 및 긱워커의 권리를 보장할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.
<표1: 긱이코노미 종사 희망 조사>
통계청 조사를 기준으로 BCG가 추산한바에 따르면, 국내 전체 취업자 2600만 중 1천만명이 긱이코노미 종사자(긱워커)인 것으로 보인다. 보고서는 국내 긱이코노미 종사자 중 88%의 응답자가 앞으로도 이 직종에 계속 종사하고 싶다고 한 데에 주목했다. 이는 글로벌 평균 70%보다 18%p나 높은 수치이며, 특히 이 88% 중 60%는 ‘정규직 직업을 갖게 되도 긱이코노미에 계속 종사하겠다‘고 답했다. 즉, 긱이코노미는 잠깐 나타났다 곧 사라질 반짝 트렌드가 아니라, 국내 노동시장에서 장기적인 근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이 확인된다.
<표2: 긱이코노미가 내 삶에 미치는 영향>
보고서는 또 국내 근로자들이 긱이코노미가 단순히 하나의 근로 형태를 넘어, 삶의 큰 영향력을 미칠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. BCG 설문조사에 따르면 “긱이코노미가 미래 근로형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것인가“라는 질문에 한국 근로자의 52%가 “큰 영향력을 미칠 것“이라고 답했으며, 같은 질문에 대한 글로벌 설문 조사 결과보다 23%p 더 높았다.
긱이코노미에 대한 높은 관심은 빠른 시장 성장률로 나타나고 있다. BCG가 국내 업종별 잡매칭 시장 규모 성장 추이를 분석한 결과, 2021년 현재 1.2억건으로 집계되는 긱시장 채용 건수는 5년간 연평균 35% 증가, 2024년에는 3.5억건, 2026년에는 5.5억건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. 이 수치는 도소매, 개인서비스 등 업종마다 성장률 전망치 등의 요인을 감안해 각각 추산한 뒤, 합한 것이다. (세부 시장 규모 추산 로직은 본 보고서 40페이지 Appendix 참조)
<표3: 긱워커 잡매칭 시장 규모 및 성장동인>
지금은 배달과 배송이 긱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, 앞으로는 도소매와 식음료 업종에서 긱시장 규모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. 도소매∙식음료 업종의 고용주는 최저 시급 상승으로 인건비 부담을 크게 느끼고, 근로자는 초단기 채용에 대한 인식이 급격히 변하고 있어 폭발적인 성장 여건이 갖춰진 상황이다.
보고서에 따르면 높은 성장성과 기대에 비해, 현 긱워커의 업무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. 긱워크가 주업인 설문 응답자의 14%가 최근 근로 상황이 악화됐다고 밝혔으며, 이는 글로벌 평균 8%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.
보고서는 긱워커의 업무 만족도를 개선하고, 긱이코노미 확산에 따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잡 매칭과 소득∙금융관리 서비스를 모두 제공하는 종합 긱플랫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. 긱워커와 긱고용주의 고충을 해결해주는 종합 긱플랫폼 서비스 제공자가 나타난다면 노동시장 유연성이 확보돼 잠재 긱워커가 유입될 수 있고, 이는 결국 노동 참여 확대로 이어진다는 것이다. 또한, 지금까지도 엄연히 존재했으나 공식화되지 못했던 계약직∙단기 형태 근로자가 종합 긱플랫폼을 통해 표준화∙정량화∙공식화되면, 이들을 대상으로 한 복지 및 사회보장 시스템과 보험∙대출 등 금융서비스를 설계하고 제공하는 것이 용이해진다.
2020년 5월 자비스앤빌런즈가 출시한 세금 신고 및 환급 도움 서비스 ‘삼쩜삼’은 올 해 5월말 기준 약 1186만 명의 가입자를 확보했고, 총 4892억원의 세금 환급을 도왔다. 자비스앤빌런즈는 긱워커들의 생활 니즈를 분석하여 구직, 금융, 라이프 등 생활 전반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.
자비스앤빌런즈 김범섭 대표는 “개성있고 자유로운 근무 형태를 추구하는 긱워커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니즈를 반영한 산업 생태계도 계속해서 성장해나갈 것으로 보인다”면서 “긱워커들의 실질적인 부를 늘려드릴 수 있는 생활 맞춤형 서비스 플랫폼으로 도약하는 것이 자비스앤빌런즈의 목표”라고 말했다.
BCG코리아 박영호 파트너는 “전세계는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긱워크 이코노미의 폭발적인 성장은 거스를 수 없는 트렌드“라며 “그러나 복지혜택과 사회보호 시스템 등 긱워커에 대한 정책은 불충분한 상황이며, 현 근로기준법상 제도의 사각지대에 있는 긱워커의 권리를 보장할 각종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“고 밝혔다.
한편, BCG는 본 보고서 작성을 위해 한국을 포함 총 12개국 1만1,000명의 긱워커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, 자비스앤빌런즈 긱워커 빅데이터 분석을 종합해 한국의 긱이코노미 현황을 분석했다.
※ 긱(Gig)이코노미란?
‘임시로 하는 일’이라는 뜻의 ‘긱(gig)’과 경제를 뜻하는 ‘이코노미(economy)’ 의 합성어로, 필요에 따라 일을 맡기고 구하는 경제 형태를 의미한다.